대구시와 접하고 있는 경북 경산시의 2023년 현재 경산시 읍면동별 인구수와 인구증감을 알아본다.
경산시 인구 요약
- 전체 인구수 267,528명
- 현재 유지 중
- 동부동 38,507명
1. 경상북도 경산시(慶山市) 특징
경산시는 대구시의 하나의 자치구 지역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경산시의 인구 수와 인구 증감은 대구시와 연관이 있다. 대구시와 더불어 섬유 공업 도시로 성장하였다. 영남대, 대구가톨릭대, 대구대, 경일대, 대구한의대학교 등이 경산시에 소재하고 있다.
인구면에서는 경상북도 내에서 포항(약 49만, 2023년), 구미시(약 40만, 2023년)에 이어 3번째로 인구가 많다.
삼성 라이온즈 볼파크는 경산시 진량읍에 있다. 와촌면 팔공산에는 대구의 상징과도 같은 갓 바위라는 석가모니 상이 있다. 실제로는 경산시에 속하며, 실제 이름은 갓 바위가 아니라 팔공산 관봉석조여래좌상이다.
경산시 행정 구역은 하양읍, 진량읍 등 3개 읍과 5개의 면 7개의 동이 있다. 경산시의 인구 수와 증감율을 알아본다.
참고로 근처의 영천시의 인구수와 증감은 여기서 확인할 수 있다.
2. 경산시 인구수 추이
경산시의 인구수는 2011년 대비 2022년까지 24,000여 명이 늘어 10%이상 증가하였다. 경산 시내지역은 21,000여 명이 늘어났고 경산시 읍면지역도 3,000명 정도가 늘었다.
지방 소멸 시대에 인구가 늘어난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하지만 거기 까지다. 경산시의 인구는 큰 폭으로 감소하지는 않지만 2023년부터 감소를 시작했다.
경산시 인구추이(단위: 명)
행정구역 | 2011년 | 2022년 | 2023년 05월 |
---|---|---|---|
경산시 전체 | 243,684 | 267,725 | 267,528 |
경산 읍면지역 | 102,871 | 106,160 | 107,047 |
경산 동지역 | 140,813 | 161,565 | 160,481 |
아래 그래프를 보면 알수 있듯이 경산시의 인구수는 2020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적은 비율로 감소 중이다. 대구시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어 경산시도 그 영향을 받고 있는 것 같다.
경산시는 경상북도에서 구미시와 더불어 젊은 도시에 속하며 지방소멸 지수는 0.606 정도로 높은 편에 속한다.
경산시 인구추이(단위: 명)

3. 경산시 읍면, 동별 인구수
7개의 시내 동지역 중에서 북부동과 서부1동, 서부 2동에는 약 3만 명 이상의 인구가 거주하고 있으며 그중 동부동의 인구수가 38,500여 명으로 가장 인구가 많다. 북부동. 남부동의 인구도 적지 않아 17,000~19,000여 명이다. 경산시 북부동에는 영남대학교가 자리 잡고 있다.
경산시 구도심을 구성하고 있는 중앙동의 인구수는 6천여 명으로 동 지역에서 인구수가 가장 적다. 그 뒤를 이어 중방동으로 인구수는 9,300여 명이다.
경산시 읍면, 동별 인구수(단위:명)

읍면 지역에서는 진량읍이 인구수가 가장 많아 34,000여 명이다. 하양읍의 인구수는 31,000여 명이다. 압량읍의 인구수는 2만여 명으로 이들 3개의 읍지역의 인구수가 경산시 읍면지역 인구수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압량읍은 실제로 경산시 시내 동지역과 같은 생활권을 이루고 있다.
진량읍에는 대구대학교 경산캠퍼스가 있다.
경산시 읍면 지역에서 인구수가 가장 적은 지역은 남천면이다. 청도군과 접하고 있는 남천면의 인구수는 2,800여 명이고, 갓바위가 있는 와촌면의 인구수는 5,400여 명이다. 남천면, 남산면, 용성면 등 이들 지역은 청도, 영천 등과 경계를 이루는 지역이고 산악지대라 인구수가 많지 않다.
4. 경산시 읍면동별 인구증감
경산시 시내지역의 인구 증감의 특징은 확연하다. 구도심 지역인 중앙동, 중방동 지역은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주거단지인 서부동, 북부동, 남부동의 인구는 2011년 대비 10%~79% 정도로 증가하였다. 경산 시내에서의 이동도 있었고 대구시에서의 이전도 크게 작용한 것 같다.
특별히 대구시 수성구와 붙어있는 서부 2동의 인구 증가가 눈에 띈다. 전체적으로 경산시의 시내 동지역 인구는 증가하는 중이다. 북부동의 일부 지역에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 인구수는 더 늘어 날 것으로 보인다.
경산시 동지역 인구증감(단위:명)
2011-2023년
행정구역 | 2011년 | 2023년 05월 | 증감 | 증감률 |
---|---|---|---|---|
경산시 전체 | 243,684 | 267,528 | 23,844 | 9.8% |
경산시 시내동지역 | 140,813 | 160,481 | 19,668 | 14.0% |
중방동 | 11,160 | 9,327 | ▼1,833 | -16.4% |
중앙동 | 7,340 | 6,178 | ▼1,162 | -15.8% |
남부동 | 17,375 | 19,473 | 2,098 | 12.1% |
서부1동 | 40,125 | 34,494 | ▼5,631 | -14.0% |
서부2동 | 20,577 | 35,598 | 15,021 | 73.0% |
북부동 | 12,491 | 16,904 | 4,413 | 35.3% |
동부동 | 31,745 | 38,507 | 6,762 | 21.3% |
5. 경산시 읍면, 동별 인구 증감
경산시 읍면지역의 인구 증감의 특징은 하양읍과 압량읍을 제외하고는 모든 읍면지역의 인구가 감소하였다.
인구가 증가한 지역을 보면 압량읍이 2011년 대비 57%가 증가하였고 하양읍은 14%가 증가하였다. 이 두 지역의 특징은 압량읍은 경산시의 도심과 붙어있고 하양읍은 대구시 안심지역과 가깝다는 것이다.
반면 진량읍과 자인면에서는 14~16% 정도 인구가 감소하였다. 청도군과 가까운 남천면의 경우에는 인구수도 적고 2011년 대비하여 -19%에 이를 만큼 인구 감소가 심각한 편이다.
경산시 읍면별 인구수와 증감(단위:명)
2011-2023년
행정구역 | 2011년 | 2023 5월 | 증감 | 증감률 |
---|---|---|---|---|
경산시 읍면지역 | 102,871 | 107,047 | 4,176 | 4.1% |
하양읍 | 26,987 | 30,964 | 3,977 | 14.7% |
진량읍 | 38,767 | 34,682 | ▼4,085 | -10.5% |
압량읍 | 13,202 | 20,752 | 7,550 | 57.2% |
와촌면 | 6,298 | 5,462 | ▼836 | -13.3% |
자인면 | 6,431 | 5,398 | ▼1,033 | -16.1% |
용성면 | 3,775 | 3,275 | ▼500 | -13.2% |
남산면 | 3,918 | 3,689 | ▼229 | -5.8% |
남천면 | 3,493 | 2,825 | ▼668 | -19.1% |
6. 경산시 읍면, 동별 행정구역 지도
경산시 읍면, 동별 행정지도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행정동 지역은 대구광역시와 연결되어 있다. 인구가 많은 압량읍과 하양읍의 경우 대구광역시와 접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남천면, 남산면, 용성면은 남쪽 청도군과 접하는데 산지 지역이라 인구 수가 적다.

출처 : 이 사진은 위키백과의 경산시 자료를 참조합니다.
본 통계자료는 통계청 자료를 참조합니다.
By Molba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