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시 읍면동별 인구수 인구변동 추이

경북 구미시의 2023년 현재 읍면동별 인구수와 2017년 대비 인구 증감, 향후 구미시 행정 구역별 인구의 변동과 추이를 알아본다.

구미시 인구 요약

  • 인구 수 406,785명
  • 현재 감소 중
  • 인동동 47,300명
  • 고아읍 38,130명


1. 구미시 특징

1963년 비산동과 공단동에 구미국가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발전을 시작했고 구미시의 인구가 증가하기 시작했다. 한 때 한국 전자 산업의 메카였던 구미시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출신지가 있는 곳이다. 현재 박정희 기념관 신축을 추진 중이다.

해동불교의 성지 도리사가 자리 잡고 있으며 유림 영남학파의 한 축을 담당한 선산 사림의 고장이다. 1995년에 구미시와 선산군을 합쳐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2. 구미시 인구수와 변동 추이

인구수 42만이던 구미시의 인구감소는 2017년 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2023년 현재 인구수는 406,000명 정도이다, 2024년에 들어서면 40만의 인구수도 무너질 것으로 보인다.

구미 시내에서 주변의 택지개발 지역으로의 이동도 많았고 변동도 많지만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추가 산업단지의 개발이 완료되고 기업체의 입주가 진행되면 늘어 날 수도 있겠다.

구미시 인구추이
구미시 인구추이
연도인구수증감증감률
 2012416,949  
 2013419,4282,4790.6%
 2014420,3208920.2%
 2015419,915▼405-0.1%
 2016419,891▼240.0%
 2017421,7991,9080.5%
 2018421,494▼305-0.1%
 2019419,742▼1,752-0.4%
 2020416,328▼3,414-0.8%
 2021412,581▼3,747-0.9%
 2022408,110▼4,471-1.1%
 2023.05406,785▼1,325-0.3%
2017-2023 비교▼15,014-3.56%

산동면은 2021년 산동읍으로
원평 1,2동은 2021년 원평동으로
공단 1, 2동은 2021년 비산동, 공단동으로 분리 합병함


3. 구미시 읍면동별 인구수와 증감

현재 구미시 읍면지역에서는 문성지구의 택지 개발로 인하여 고아읍의 인구가 38,000여 명으로 가장 많다. 그 뒤로 구미국가산업단지의 확장과 주거 지구의 개발되고 있는 산동읍의 인구가 37,000여 명이다. 선산읍의 인구수는 14,000여 명이다.

그외의 면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곳은 해평면으로 3,800여 명이다. 해평면에 하이테크밸리가 들어서면 인구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구미시에서 인구수가 가장 적은 곳은 구미시내와 많이 떨어진 산악지대인 옥성면으로 1,678명이고, 무을면의 인구수는 1,800여 명이다.

구미시 읍면별 인구수
구미시읍면별 인구수

구미시 읍면동별 인구 증감과 변동을 보면

구미시에서 인구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산업단지가 있는 산동읍으로 2017년 대비 13,000여 명이 늘었다. LG BCM이 완공되면 더 늘어 날 수도 있겠다. 문성지구의 택지 개발로 고아읍의 인구도 늘었다.

반면 선산읍의 인구수는 2017년 대비 -9%로 감소하였다.

읍면
지역
2017년2023
5월
증감
선산읍15,57014,178▼1,392
-8.9%
고아읍36,07238,1302,058
산동읍14,61327,30812,695
86.9%
무을면2,0361,813▼223
옥성면1,9181,678▼240
도개면2,3442,115▼229
해평면4,7033,868▼835
-17.8%
장천면3,4462,874▼572
-16.6%

4. 읍면동별 주민수와 인구 증감

구미시 동별 인구수를 알아본다.

구미시 시내에서 인구각 가장 많은 지역은 구미시 외곽에 있는 인동동과 양포동으로 인구수가 거의 5만 명 수준이다. 금오산을 가지고 있는 선주원남동의 인구수도 많아 38,000여 명이다.

박정희 대통령의 출신지이자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이 있는 상모사곡동의 인구도 3만 명에 이른다.

구미 시내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은 대부분이 농지인 지산동으로 인구수는 2천여 명이다. 공단지역인 공단동과 비산동의 인구수는 적은 편이다.

구미시 동별 인구수
구미시 동별 인구수

구미시 동별 인구 증감과 변동을 알아보면

구미시청이 있는 송정동과 산업단지의 일부인 신평 1동의 인구가 증가했고 나머지 모든 동 지역의 인구가 감소했다. 비산동은 공단동과 함께 행정구역이 개편되면서 인구수가 조정되었다.

원평동, 지산동 지역에서 인구감소가 크다.

구미시의 인구 변동은 시내 지역의 인구가 인근 읍면 지역으로 이동이 많았다. 하지만 구미시 전체적으로 보면 분명한 인구감소를 보여준다.

행정
구역
2017년2023
5월
증감
송정동17,14823,3376,189
+36.1%
원평동8,8155,877▼2,938
-33.3%
도량동29,63628,134▼1,502
 지산동2,6841,999▼685
-25.5%
선주
원남동
49,58338,326▼11,257
-22.7%
형곡1동15,59813,504▼2,094
-13.4%
형곡2동19,30916,155▼3,154
-16.3%
신평1동3,5244,310786
+22.3%
신평2동3,1903,033▼157
비산동6,42412,9426,518
+101.5%
광평동4,7714,222▼549
상모
사곡동
31,03130,352▼679
임오동20,75018,233▼2,517
-12.1%
인동동53,40247,300▼6,102
-11.4%
진미동18,10816,961▼1,147
양포동46,36845,860▼508
공단동4,276 

5. 구미시 읍면동별 행정지도

구미시는 한 때 선산군이었던 지역을 흡수하여 현재에 이르렀다. 남쪽으로 칠곡군과 접하고 김천시와도 경계를 이룬다. 도심을 중심으로 경부 고속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금오산은 시내 선주원남동에 있다.

구미 행정지도
구미 행정지도

출처 : wikimedia.org/wiki/File:Gumi-map.png


이상으로 구미시 읍면동별 인구수와 증감을 알아 보았다, 경상북도 각 시군별 인구수에 대한 글은 아래 글을 확인 바랍니다.

경상북도 시군별 인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