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 2023년

전국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를 2023년 2분기를 기준으로 알아봅니다. 독일의 유튜브 채널 ‘쿠르츠게작트’가 대한민국의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아여 그 심각성을 지적했죠. 이게 왜 뉴스거리가 되는 것인지 모르겠습니다. 저출산고령화 문제가 외국 언론이 지적 안 하면 아무 문제없는 일이었던가요?

한국 언론은 녹아내리는 태극기만을 부각하여 가십거리로 소화하게 만들죠. 근본적인 문제의 심각성은 지적할 줄 모르죠. 대한민국 언론도 정치인들, 관료들과 마찬가지로 ” 나만 아니면 돼”라는 인식이 있는 것인가 하여 안타깝습니다. 


전국 분기별 합계출산율

2022년 전국 합계출산율은 0.78명이었습니다. 그리고 2023년 2/4분기 합계게출산율은 0.70명 입니다. 언론에서는 “출산율 분기 최저점을 찍었네”, “대한민국 망했네” 하며 호들갑을 떨었습니다. 출산율 0.70명은 작년 4/4분기에도 있었습니다. 나라가 망할 듯 난리더만 정부 관계자나 지식인, 정치인 그 누구 하나 고민도 대책도 없이 넘어갑니다.

2022년, 2023년 분기별 출산율

분기합계출산율
2022. 1/40.87
2022. 2/40.75
2022. 3/40.80
2022. 4/40.70
2023. 1/40.81
2023. 2/40.70
2023. 3/4
예상
0.75
2023. 4/4
예상
0.65

위 표에서 보듯이 2/4분기, 4/4분기에는 출산율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대로 가면 2023년 4/4분기에는 0.65명(역대 최저) 그리고 2023년 연간 합계출산율은 0.73명(역대 최저)으로 예상합니다.

🔽 전국 시도별 10대 20대 30대 인구비율 순위


시도별 합계출산율과 순위

전국의 전체 합계출산율에 이어 시도별 합계출산율을 알아봅니다. 기준은 2023년 2/4분기 기준으로 시도별 출산율이 순위도 알아봅니다.

2023년 2분기를 기해서 전국의 모든 지역의 합계출산율이 1.0명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2분기 출산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전남과 세종시로 출산율은 0.94명입니다. 이런 출산율 하락은 극단적인 대책이 없으면 계속될 것로 보입니다.

순위지역2023
2분기
2023
1분기
2022
연간
전국0.700.810.78
1 전남0.941.090.97
2 세종0.941.191.12
3 강원0.871.030.97
4 충북0.870.970.87
5 경북0.840.980.93
6 충남0.810.920.91
7 대전0.790.880.84
8 제주0.790.930.92
9 울산0.770.930.85
10 경남0.770.890.84
11 경기0.750.860.84
12 전북0.750.860.82
13 광주0.700.820.84
14 대구0.670.790.76
15 인천0.670.790.75
16 부산0.660.750.72
17 서울0.530.620.59

출산율 최 하위는 서울시로 2023년 3분기 합계출산율은 0.53명입니다.


2022년 연간 시도별 합계출산율

세종시가 2022년 연간 1.12명으로 가장 높습니다. 젊은 청년 세대들이 아이들 많이(실제로는 많이 낳는 게 아니지만 상대적으로) 낳는다는 말입니다. 그 이유는 전 국민이 다 압니다. 안정적인 직장과 쾌적한 주거환경이죠.

그 다음으로는 고령화가 심각한 전남과 강원, 경북의 합계출산율이 0.90명 대로 높습니다. 이는 모수가 작아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2022년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
2022년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

2022년 연간 출산율이 낮은 지역은 대부분의 대도시 지역으로 대구 0.76명, 인천 0.75명, 부산 0.72명, 서울시의 합계출산율은 0.59명입니다. 대도시의 생활 인프라는 높을지 모르지만 아이를 낳아 기르는데 막대한 부담감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대책이 없는 것이죠.
이어서 잠깐 핫 이슈가 되어버린 2023년 2분기 합계출산율을 전국 시도별로 알아봅니다.


2023년 2분기 시도별 합계출산율

출산율에서 항상 전국 1위를 달리던 세종시의 합계출산율이 1.0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순위도 전라남도와 자리를 바꾸어 전국 2위입니다. 아이를 키우는 환경이 가장 좋은 세종시마저도 출산율이 떨어진다는 것은 문제의 심각성이 더 커진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저출산의 문제가 이제는 경고가 아니라 사회 문제를 일으키기 시작하고 있다고 봐야합니다. 어디에선가 저출산의 영향을 받기 시작할 것입니다.

2023년 2분기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
2023년 2분기 시도별 합계출산율 순위

여전히 대도시의 저출산율 문제는 해결될 기미도 보이지 않고 해결할 능력도 없어 보입니다. 그동안 수많은 경고 메세지가 본격적으로 문제를 야기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 평균 합계출산율 7.0명 보다 낮은 지역은 광주, 인천, 대구, 부산, 서울시입니다. 서울시의 합계출산율은 0.53명입니다.  추이를 보건대 2024년 4분기 서울시의 합계출산율은 0.5명 대도 무너질 것으로 보입니다.

🔽 출생년도별 국민연금 받는 나이와 연도
🔽 2023년 전국 분기별 합계출산율과 증감

By Molbania